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전 예시로 보는 손절 → 재매수 → 수익화 흐름

by 삶은 돈 2025. 4. 7.
반응형

 

손절 재매수 수익화 관련 이미지

 

 

손절이 끝이 아닌 이유, 고수들의 '복귀 타이밍' 전략

 

1. 손절, 두려움이 아니라 전략입니다

손절이라고 하면 대부분의 투자자는 '실패'라고 느낍니다.
하지만 고수 투자자들은 '손절'을 하나의 거래 전략으로 인식합니다.
진입 타이밍이 틀렸다면 과감히 손절하고, 더 좋은 자리에서 다시 들어가는 것이죠.

 

2025.04.07 - [분류 전체보기] - "손절을 못 하면, 주식도 못 한다" – 초고수들의 손절 기준 관리법

 

"손절을 못 하면, 주식도 못 한다" – 초고수들의 손절 기준 관리법

주식 투자에서 가장 어려운 것이 무엇일까요?좋은 종목을 고르는 것?수익이 날 때까지 기다리는 인내심?그보다 더 어려운 것은 바로 ‘손절’,즉 손실이 났을 때 빠르게 손을 떼는 일입니다.초

haralolo.com

 

 

2. 실전 시나리오 요약

시나리오 요약

  • 초기 진입: 상승 기대감으로 매수
  • 지지선 이탈 (-7%)기계적 손절
  • 다시 기술적 반등 발생 (RSI 30 → 40 이상 회복)
  • MACD 골든크로스 발생 시 재진입
  • 수익 실현: 직전 고점 근처에서 분할 매도

3. 손절 → 재매수 → 수익화 흐름 차트

 

단계 설명
① 손절 매수 후 -7% 하락 시, 감정 배제하고 기계적 손절
② 반등 조짐 RSI 30 이하 → 40 이상 회복 / 거래량 증가 / MACD 골든크로스 확인
③ 재진입 기술적 반등 확인 후, 매수 → 평균 단가 낮추기
④ 수익 실현 매물대 도달 / 전고점 돌파 / 거래량 감소 시 분할 매도

 

4. 이 전략의 핵심은 ‘기준’입니다

  • 손절 기준: -7%
  • 재매수 기준: 기술적 반등 시그널 (RSI, MACD, 거래량)
  • 매도 기준: 전 고점 또는 박스권 상단에서 분할매도

 

4.1 재매수 기준

‘기술적 반등 신호’란?

"기술적 반등 신호(Technical Rebound Signal)"는 주가가 하락세를 멈추고 다시 상승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조짐을 보일 때 나타나는 차트 기반의 매수 타이밍 힌트입니다. 이는 단순한 주가 반등이 아니라, 기술적 지표나 패턴을 근거로 매수 가능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근거가 됩니다.


주요 기술적 반등 신호 종류

신호 종류 의미 매수 시점의 판단 근거
RSI(상대강도지수) 30 이하 → 40 이상 회복 과매도 상태에서 매수세 유입 RSI가 30 아래로 내려갔다가 40을 넘을 때
MACD 골든크로스 단기 평균선이 장기 평균선을 상향 돌파 상승 추세 전환 신호
20일선 돌파 단기 이동평균선을 돌파하며 추세 전환 저항선 돌파로 인한 모멘텀 증가
이중바닥(Double Bottom) 바닥을 두 번 찍고 반등하는 구조 매도 압력이 약해지고 매수세 전환 신호
거래량 증가 동반한 양봉 출현 매수세가 강하게 유입됨 상승 시작 시 거래량 증가 확인

 

RSI 반등 신호

  • RSI란 Relative Strength Index의 약자로, 주가의 과매수·과매도 상태를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 RSI 30 이하는 ‘과매도’, 즉 너무 많이 팔려서 반등이 예상되는 구간을 의미합니다.
  • 이후 RSI가 40 이상으로 회복될 경우, 실질적인 매수세 유입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TIP: RSI 단독보다는 MACD, 이동평균선, 거래량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신뢰도 높습니다.

 

4.2 매도 기준

수익 실현 매도 기준: 전 고점 또는 박스권 상단에서 분할매도

성공적인 투자는 ‘언제 매수하느냐’만큼이나 ‘언제 매도하느냐’도 중요합니다. 특히 수익을 확정짓는 매도 타이밍은 포지션의 마무리를 결정짓는 핵심입니다. 고수들은 이를 단번에 ‘올인’하지 않고, 분할매도 전략을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수익을 극대화합니다.

 

4.2.1 ‘전 고점’에서 매도란?

"전 고점(previous high)"이란, 주가가 이전에 형성했던 가장 높은 가격대를 의미합니다.
이 구간은 매물대가 쌓여 있어 심리적 저항선이 되기 쉽습니다.

  • 이유: 해당 구간까지 올라오면 과거에 손실을 본 투자자들이 본전을 찾기 위해 매도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 전략: 전 고점 근처에서 일정 비율(예: 30~50%) 분할매도를 진행해 수익을 실현합니다.

예시:
A종목을 15,000원에 매수했고, 과거 고점이 19,800원이었다면, 주가가 19,500~19,800원대에 도달했을 때 일부 매도 진행.

 

4.2.2 ‘박스권 상단’에서 매도란?

"박스권(Box range)"은 일정한 가격대 안에서 주가가 횡보할 때 형성되는 구간입니다.
박스권 상단은 반복적으로 주가가 저항을 받는 위치로, 매수세가 강하지 않으면 다시 하락할 가능성이 큽니다.

  • 이유: 시장 참여자들이 해당 구간에서 ‘되팔기’를 반복해, 강한 저항대를 형성.
  • 전략: 상단에 도달하면 단기 수익을 분할로 실현하여 이익을 확보합니다.

 

4.2.3  ‘분할매도’의 장점


장점 설명
심리적 부담 감소 전량 매도가 아닌 일부 매도이므로, 수익 실현과 기회 지속을 동시에 추구
변동성 대응 유연성 주가가 더 오르면 남은 물량으로 추가 수익 가능
리스크 관리 갑작스러운 반락 시 손실 최소화 가능

 

>>> 단기 감정이 아닌 명확한 기준으로 대응하면, 손절도 '계획된 전략'이 됩니다.

 

5. 주의사항 & 팁

  • 재진입은 아무 데서나 하는 게 아님!
    → ‘기술적 반등 신호’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함
  • 동일 종목이라도 상황이 달라졌다면 아예 포기하는 것도 전략
  • 기록하기: 손절/재매수 시점을 메모해두면 다음 매매에 큰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