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s활용법2 [RSI만 보면 반쪽짜리 투자?] RSI와 함께 추세를 판단하는 5가지 방법 RSI만 믿다가 ‘추세’를 놓친다면?많은 투자자들이 RSI(상대강도지수)를 ‘과매수/과매도’ 지표로만 인식하고 있습니다. RSI가 30 이하일 땐 싸다고 사고, 70 이상일 땐 비싸다고 팔곤 하죠. 그러나 이는 ‘정지된 사진’을 보고 투자를 결정하는 것과 같습니다. 시장은 흐릅니다. 추세의 방향성과 속도, 탄력까지 읽어내야 진정한 고수의 영역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RSI를 중심에 두되, 그 신호를 보완하고 강화할 수 있는 ‘추세 판단법 5가지’를 소개합니다. 1. 이동평균선의 배열로 추세 확인RSI가 낮다고 해서 무조건 매수해선 안 됩니다. "이동평균선(MA: Moving Average)"이 하향 배열이라면 주가는 하락 추세일 가능성이 큽니다.상승 추세: 5일선 > 20일선 > 60일선 순으로 .. 2025. 4. 9. [알쏭달쏭한 호가창의 비밀] 매수호가만 있거나 매도호가만 보일 때,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호가창에서 뜻밖의 장면을 마주할 때가 있습니다. 어떤 종목의 호가창을 열었는데 매수호가만 보이고 매도호가는 비어 있는 경우, 또는 반대로 매도호가만 있고 매수호가는 전혀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은 단순히 거래가 적은 종목이라서 그런 걸까요? 아니면 특정한 시장 상황이나 제도적 요인이 작용하는 걸까요?이번 글에서는 이런 비정상적이거나 특수한 호가창 현상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그 원인과 의미, 그리고 투자 전략 측면에서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주식의 호가창은 단순히 주문의 나열이 아니라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와 의도가 응축된 정보라는 점에서 중요한 해석 도구입니다.1. 매수호가만 있는 경우: 매도자가 없는 상황호가창에 매수호가만 존재한다는 것은 현.. 2025. 4. 9. 이전 1 다음 반응형